내게 필요한 것은

앨범구분 : 정규앨범 앨범형식 : 디지털
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발매일 : 2025-06-19
기획사 : Donkey Music 유통사 : (주)온리원뮤직
기본장르 : CCM 세부장르 : 국내 CCM

트랙정보

1CD:1

하늘의 복이 우리 가정에00:03:05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2CD:1

내게 필요한 것은00:03:31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3CD:1

아름다운 사랑00:04:36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4CD:1

나는 주님의 악기00:03:01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5CD:1

자라갑니다00:04:07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6CD:1

은사00:04:58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정선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7CD:1

나의 면류관00:03:13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8CD:1

하나00:04:16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9CD:1

성령이여, 내 맘을 감동하소서00:04:07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정선원 / 작곡 : 박동원, 정선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10CD:1

주의 기도00:03:30

트랙아티스트 : 정선원, 빅동원 / 작사 : 박동원 / 작곡 : 박동원 / 편곡 : 박동원기본장르 : 종교음악/ 세부장르 : 국내 CCM

앨범소개

<정 선원 & 박 동원 - 내게 필요한 것은>
======================================

*크레딧*

Produced, Arranged, Recorded, Mixed & Mastering by 박 동원
Cover Design : Donkey Music
===========
Keyboards, Programming (Drums, Percussion, Bass, Strings), Acoustic, Electric & Classical Guitar, Bass Guitar : 박 동원
Background vocals : 정 선원 & 박 동원


*앨범 소개 by Donkey Music 박 동원 작곡가*

우리 부부의 첫 듀엣 앨범이다.
아내 정 선원 사역자는 그간 솔로 가수와 예배 인도자로 사역해 왔고,
나는 작편곡과 음반 프로듀싱과 예배 인도자 사역을 해왔는데
실질적으로는 이미 함께 듀엣처럼 거의 모든 사역 현장에 함께 했다.
이번 음반은 그동안의 사역 활동 중 듀엣 곡 편성에 어울리는 곡들을 선곡했으며
'가정'과 '성도간의 축복'등의 주제를 주로 담고 있다.


Track 1. 하늘의 복이 우리 가정에
(작사, 작곡 - 박 동원)
하나님을 믿는 가정에 항상 하늘의 복이 있음을 기쁘게 노래하는 곡이다.

Track 2. 내게 필요한 것은
(작사, 작곡 - 박 동원)
우리 부부가 처음으로 참여한 앨범 녹음 작업을 진행하던 1997년에 쓴 경쾌한 곡이지만,
작곡 배경은 다소 힘든 상황이었다.
당시 앨범 작업이 잘 진행되지 않아 아쉬워 하면서 뜻하고 바라는 대로 되지 않아
속상해 하다가 나에겐 다른 어떤 것 보다 예수님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고
이 곡을 만들게 되었다.
나의 청소년, 청년 시절을 돌아보면서 내가 가진 조건과 환경을 탓하며 힘들어 했던
때를 회상을 토대로 가사를 썼다.

Track 3. 아름다운 사랑
(작사, 작곡 - 박 동원)
내가 대학교 4학년을 앞두고 쓴 곡으로서 그 당시 듣던 국내 CCM 곡들과 내가 좋아하던
팝 오케스트라 연주곡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곡이다. 대학교 1학년을 앞두고 기타를 본격적으로 배우면서 찬양 작곡이 시작되었고 1년에 평균 10여 곡 씩 쓰긴 했지만,
지금처럼 계속 많은 곡들을 쓸 줄 몰랐기에 이 곡을 50번째 곡으로 완성하며 하나님께 감사 드렸던 곡이기도 하다.
나를 사랑해 주신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 찬양이다.

Track 4. 나는 주님의 악기
(작사, 작곡 - 박 동원)
2009년 작곡 당시에 한 TV 음악 프로그램을 보다가 '조율'이란 단어를 듣는 순간 떠오른
내용을 근거로 쓴 곡이다. 악기는 영어로 (musical) instrument라고 하는데, 직역하면
'음악적 도구'이다. 그래서, 1절은 내가 주님을 위한 악기라는 것을, 2절은 주님께서 쓰시는 도구라는 것을 담았다.

Track 5. 자라갑니다
(작사, 작곡 - 박 동원)
그 당시(2011년) 가정 예배 때 읽은 골 4:7 이하 말씀과
눅 2:52에 기록된 예수의 거룩한 성장의 모습을 접목시켜 완성한 곡이다.
새해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나의 신앙과 성품과 달란트가 예수처럼
하나님과 사람들 보기에 더 사랑스럽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으며,
배우자나 가족, 또는 동역자를 위한 축복의 노래인 동시에
주님 앞에 성장할 자신을 스스로 격려하는 곡이기도 하다.

Track 6. 은사
(작사 - 박 동원 & 정 선원
작곡 - 박 동원)
우리 부부가 성경의 주요 영적인 단어들을 묵상하는 가정 성경 공부를 함께 하며
더 깊이 깨닫게 된 '성령의 9가지 은사'를 간략히 설명하는 곡으로서,
가사 없이 써 두었던 한 곡의 악상을 아내가 듣고 '하늘에서 성령의 은사가 내려오는 느낌이다'라고 한 말을 한 뒤에
아내와 함께 가사를 붙여 완성하게 된 리드미컬하면서 신비한 편곡이 특징인 곡이다.

Track 7. 나의 면류관
(작사, 작곡 - 박 동원)
주님 안에서의 동역자를 축복하는 곡이며, 특히 나의 가장 최고의 동역자가 되어 준
아내를 생각하며 쓴 곡이다.

Track 8. 하나
(작사, 작곡 - 박 동원)
원래는 대학교와 교회 후배이면서 같이 찬양사역의 길을 가고 있던 한 형제의 결혼 축가로 쓰기 시작했지만, 쓰는 과정에서 주님과 교회와의 관계와 '하나됨의 비밀'을 묵상하는 예배곡으로 완성되었다.

Track 9. 성령이여, 내 맘을 감동하소서
(작사 - 박 동원 & 정 선원
작곡 - 박 동원 & 정 선원)
곡을 쓰던 2014년 12월 24일 아침에 가정 예배 겸 당일 저녁에 있을 성탄 공연 연습을 했다.
우리의 예배와 연습이 마친 후에도 아내는 계속 연주를 했고 내가 기도하는 동안 아내는 성령을 따라 즉흥적인 곡으로 이 곡의 앞 부분의 멜로디와 가사를 불렀다.
예배 후 계속 남아 있는 그 악상을 악보로 적어 두었으며, 2015년 새해 첫날 완성되었다.

Track 10. 주의 기도
(작사, 작곡 - 박 동원)
이 곡을 쓰기 훨씬 전부터 '주기도문'에 나만의 컨템포러리한 곡을 붙이고 싶은 마음이
있었으나
인위적으로나 억지로 하고 싶진 않아서 틈틈히 기도하며 기다리고 있었다.
이 곡을 쓰던 날 아침, 당시 사역하던 교회의 여러 가지 답답한 상황을 생각하며 잠이 깼다.
부엌에 나가 엎드려 주께 현재의 답답한 사역 상황을 아뢰는 기도를 한지 5분 쯤 지났을 때,
갑자기 선명한 멜로디가 귓가에 들렸다.
나는 기도를 중단하고 얼른 방에 들어와 필기구와 악보를 가지고 다시 부엌으로 나가서
기타를 치며 악상과 코드를 받아 적었으며, 주께 영광을 돌리는 내용의 반복적인 가사를
일단 썼다.
거의 곡을 완성해서 방으로 들어 오는데, 갑자기 성령께서 이 곡이 주기도문에 맞는
악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셨다.
그래서, 주의 기도를 멜로디에 붙여 보니, 글자 수와 음표수가 잘 맞아 떨어졌으며,
주기도문 전체를 3절로 나누어 가사를 완성할 수 있었다.
너무나 흔하게 자주 하는 이 기도의 참 가치를 회복하고 예수께서 직접 가르쳐 주신
이 기도야 말로 우리가 매일 응답받아야 할 기도라는 것을 노래하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